콘텐츠로 건너뛰기
Home » 리눅스(Linux) 배포판 선택하기

리눅스(Linux) 배포판 선택하기

지난번 포스트에서 리눅스의 활용에 대하여 이야기 해본적이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실제로 리눅스를 사용하려면 어떤 배포판을 선택해야 할지, 리눅스 배포판의 개념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리눅스 배포판이란?

위키백과에 나온 정의를 보면 “리눅스 커널(Kernel), GNU 소프트웨어 및 여러가지 자유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운영체제”라고 나옵니다. 사실 이말을 그대로 해석하기엔 무리가 따릅니다. 커널? GNU 소프트웨어?  단어가 어렵습니다. 그럼 쉽게 한번 풀어보겠습니다.  

그림. 리눅스 배포판의 도식화

리눅스를 자신의 PC나 서버에 설치를 하려면 설치 소프트웨어 패키지가 필요합니다. 이 설치 소프트웨어 패키지가 바로 “리눅스 배포판”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동일한 개념으로 Windows를 PC에 설치할때 Windows 설치 미디어(CD/DVD/USB Memory)등이 필요하죠? 리눅스도 마찬가지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운영체제(OS)는 부트로더(Bootloader)와 커널(Kernel), 파일시스템(File System) 및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Windows도 마찬가지로 위의 구성을 따르고 있고, 리눅스도 마찬가지로 동일합니다. 

위에서 커널과 어플리케이션이라는 단어가 보이네요. 그렇습니다. 리눅스를 커널 + GNU 자유 소프트웨어 모음이라고 한것은 Windows와는 다르게 커널을 포함한 부트로더, 파일시스템, 어플리케이션들이 GNU(그누) 기반인 OpenSource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즉 Freeware로 자유롭게 쓸수 있다는 개념이 되겠습니다. 

리눅스 배포판의 종류

그럼 리눅스를 설치해서 사용하려면 리눅스 배포판을 구해야 할꺼 같은데, 여기서 궁금한점은 리눅스 배포판을 어떻게 구하며, 배포판의 종류에는 어떤게 있을까? 입니다. Windows처럼 특정 회사에서 리눅스 배포판을 배포하는 것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GNU 진영답게 수많은 배포판들이 존재합니다. 현재(2017년)까지 알려진것만 전세계적으로 대략 300여종 정도 될꺼 같습니다. 

엄청나게 많네요.^^ 그중에서 많이 쓰이는 배포판들중 어떤 배포판들이 있는지 한번 쭉~ 알아보겠습니다. 

1) 우분투 

 

그림. 우분투의 로고

현존하는 리눅스 배포판중 가장 많이 쓰이고 널리 알려진 리눅스 배포판입니다. 영국의 Software회사인 캐노니컬과 우분투 재단에서 개발, 유지보수 및 배포를 하고 있습니다. 

캐노니컬 웹사이트 https://www.canonical.com/
우분투 재단 https://community.ubuntu.com/ 

그림. 우분투의 바탕화면

아마도 현재 리눅스의 대중화에 많이 기여를 하고 있는 배포판이라고 볼수 있겠습니다. 좀더 손쉬운 설치와 패키지 업데이트, 프로그램 관리도구로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 제공, 사용자 친화적인 GUI 등이 장점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저도 개인적으로 제 데스크탑 PC에는 우분투 14.04 LTS 버전이 설치가 되어 사용중에 있습니다. 기존에 개발용으로 썼던 페도라보다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업데이트의 편리함과 많은 OpenSource/ShareWare 등의 우분투 GUI 지원등으로 인해 컴파일 및 라이브러리 사용등의 편리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심지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와 Code::Blocks 같은 SDK/IDE 툴들도 우분투 기반으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개발적인 측면에서는 우분투를 마다할 이유가 없겠죠?^^ (기타 수많은 개발툴이 우분투를 지원합니다.)

우분투는 6개월마다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고 데스크탑/서버용으로 나누어 배포판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이는 본인의 사용목적에 따라 자유로이 선택하여 설치하면 됩니다. ( 저는 데스크탑용을 설치하여 사용중입니다.)

저는 14.04 LTS 버전을 현재 사용중입니다. 현재 가장 최신 버전은 16.04 LTS 버전이네요. 
LTS버전은 Long Term Support의 약자로써 기술지원의 기간이 좀더 긴걸 의미합니다. LTS외에 최신버전은 17.10 이네요. 6개월 마다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LTS버전외에 최신버전을 사용하면 지원이 6개월마다 안되기 때문에 LTS버전을 사용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2) 페도라

 

그림. 페도라 로고

우분투와 리눅스 배포판에 있어서 양대산맥중 하나인 Redhat 계열의 배포판입니다. 우분투가 현재와같이 유명 배포판이 되기 전에 가장 유명한 리눅스 배포판중 하나였습니다. 리눅스 배포판의 거의 기초(?)라고 보면 됩니다. 저도 리눅스를 시작할때 페도라 배포판을 설치하여 시작하였습니다.  

그림. 페도라의 바탕화면

페도라는 Redhat의 후원을 받아 개발 및 유지보수 등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원래 페도라는 Redhat 리눅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데, Redhat 9 버전 이후로 상용 리눅스(기업용)인 RHEL과 페도라로 분리가 됩니다. 페도라는 계속 GNU 기반으로 개발이 이루어 지고 있는데, 각 페도라 버전이 업데이트 될때마다 사용자들의 레포팅을 바탕으로 RHEL의 문제점을 업데이트 한다고 합니다. ( 페도라 사용자들은 베타 테스터(?)가 되었네요ㅋ)

저도 우분투를 사용하기 전까진 페도라를 계속 사용하였습니다. 우분투를 사용해보니 페도라의 몇가지 단점이 있는데요, 예를 들어보자면

페도라는 각 버전별로 시간이 지나면 기술지원을 받기 어렵다.
소프트웨어 패키지 업데이트 및 라이브러리 설치가 때론 쉽지 않다.
사용자 친화적이지 않은 GUI
초보자의 접근이 어려운 환경

등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페도라는 리눅스 배포판중 긴 역사와 함께 리눅스를 성장시킨 공로가 있는 배포판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아직도 주변에는 페도라 기반의 PC나 서버를 사용하는 분들을 많이 찾아볼수 있습니다. Redhat 계열이라는 단어를 탄생시킨 Redhat의 작품이니까요.^^

3) CentOS

          그림. CentOS 로고 

이 앞문단에 설명한 Redhat 계열 리눅스중 하나인 RHEL를 기반으로 된 무료 배포판입니다. Redhat에서 RHEL을 기업용 상용 솔루션으로 판매를 하는 정책으로 바꾸자 이에 대안으로 나온 Redhat 계열의 배포판입니다. 

CentOS 웹사이트
https://www.centos.org/

Redhat의 RHEL이 상용으로 판매가 되고 이에 Souce를 공개하는 않는 방향으로 바꿔버리자 이에 반발하여 GPL 방식으로 RHEL과 거의 동일하게 배포판을 개발 하여 배포를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CentOS는 무료로 배포판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고, 소스를 기반으로 재 배포도 가능합니다. 그래서 RHEL을 사용하기 부담스러운 중소/학교 등지에서 서버 솔루션으로 사용을 하기도 합니다. 

또한 RHEL의 RPM패키지나 Yum방식의 패키지 자동 업데이트 기능을 그대로 사용할수 있어서 비용적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RHEL과 거의 동일하다고 하네요. (심지어 S/W패키지도 호환됩니다.)

대신에 RHEL처럼 기술지원을 받거나 유지보수를 받을수 없는게 큰 단점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RHEL이나 CentOS는 주 사용목적이 서버를 운영하는데 사용되는데, 서버라는게 안정성이 대단히 중요한 부분중에 하나입니다. 여기서 기술 지원 혹은 유지보수를 받을수 없다는 점은 CentOS 사용에 있어서 망설이게 되는 부분중에 하나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4) 리눅스 민트

그림. 리눅스 민트 로고 

최근들어 핫(Hot)!한 리눅스라고 보면 될꺼 같습니다. 실제로 리눅스 배포판 다운로드 순위에서는 당당히 1위를 달리고 있는 배포판이기도 합니다. 

리눅스 민트 웹사이트 https://linuxmint.com/
포럼 https://forums.linuxmint.com/
한국포럼 http://linuxmint.kr/ 

리눅스 민트 바탕화면

리눅스 민트는 특이하게도 우분투와 데비안을 기반으로 개발된 리눅스 배포판입니다. 따라서 우분투와 데비안의 소프트웨어 저장소를 그대로 사용하여 패키지를 업데이트가 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Linux Mint Community라는 곳에서 개발 및 업데이트를 하고 있으며, Windows와 비슷한 사용자 친화적인 GUI와 다양한 하드웨어 드라이버 지원, 멀티미디어 관련 지원의 강화 등으로 인해 사용자가 많이 늘어난 것으로 추측이 됩니다. 

현재 우분투 기반의 리눅스 민트는 18.2 Sonya, 데비안 기반은 2가 최신 버전입니다. 최신 버전은 한글지원이 가능하여 한글을 사용하기 무리가 없다고 하니 한국에서도 사용자 포럼이 생길정도로 인기있는 배포판으로 성장을 한거 같습니다. 

아직 리눅스 민트를 사용해 본 적은 없지만, 호기심에 제 PC에서 리눅스 민트를 직접 설치하여 사용해볼 생각입니다. 최근에 왜 인기가 많아졌는지 직접 확인해 보고 싶네요.^^

5) 젠투 리눅스

 

젠투 재단에서 개발하여 배포하는 리눅스 배포판입니다.  관련 사이트는 아래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gentoo.org/ 

그림. 젠투 리눅스 바탕화면

지금까지 소개해드린 리눅스 배포판중에 가장 특이하다고 볼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설치시 다른 리눅스 배포판들과는 다르게 패키지를 컴파일(Compile :GCC와 같은 컴파일러로 패키지 소스를 바이너리로 변환하는 과정)하여 설치한다는 점입니다. 

그래서인지 일반적인 리눅스 사용자보다는 얼리아답터나 개발자들이 주로 선호를 하고 컴파일하여 사용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당장 저같은 경우에도 젠투를 사용해 본적이 지금까지 없었으니까요.^^

설치시에 일반사용자들이 일일이 패키지 소스를 확인하고 컴파일러 옵션을 체크하며 컴파일을 진행하면서 설치하는게 쉽지는 않습니다. 또한 사용자의 PC에 따라서 컴파일을 진행하는 시간이 걸리다보다 사양이 낮은 PC나 서버같은 경우는 아무래도 설치시간이 오래걸릴 수밖에 없겠네요. 

대신에 컴파일을 하여 설치를 한다는건 사용자의 PC나 서버의 아키텍처에 맞게 최적화하여 설치를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사용자의 PC의 사양에 딱 맞게 설치가 된다는 것이지요. 이런 점은 사용자 입장에서는 굉장한 장점이 될 수도 있을꺼 같습니다. ( 사양이 낮은 PC에서도 최대한 성능을 내게 하거나 필요한 소프트웨어만 컴파일하여 사용할 경우 )

알아보니 젠투는 별도의 배포판 버전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GPL 기반의 내부 어플리케이션들은 제외) 아마 컴파일 하여 설치하는 형태다 보니 배포판에 버전을 붙이지 않는것 같습니다.

제게 있어서는 젠투 리눅스가 굉장히 호기심이 생기는 리눅스 배포판인거 같습니다. 일일이 컴파일을 진행하면서 설치를 한다? 설치된 젠투 리눅스는 제 PC에만 동작하는 리눅스가 되겠네요.^^ 시간이 나면 직접 컴파일 하여 설치를 해봐야 겠습니다.

6) 데비안

 

소개 순서가 늦었습니다만^^; 이렇게 소개를 늦게 하는데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바로 데비안 리눅스는 배포판중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리눅스 배포판이기 때문입니다. 유명 배포판 중 하나인 Redhat(레드햇) 보다 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리눅스입니다. 

데비안 프로젝트 웹 사이트 https://www.debian.org/

데비안은 특정 회사나 재단에서 개발 혹은 지원을 하는게 아닌 커뮤니티에서 만들어진 배포판이라서 별도의 기술지원 및 사후지원을 받기가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서버 시장에서는 비용 절감을 이유로 개인 사용자들에서는 CentOS와 왕자를 겨루는 아주 인기있는 서버용 배포판이기도 합니다. 

그림. 데비안 바탕화면

데비안은 사실 우분투와 리눅스 민트의 기반이 된 리눅스 배포판이기도 합니다. 혹시 이런 사실을 아셨나요?ㅋ 우분투가 데비안을 기반으로 개발이 되었고, 리눅스 민트 또한 우분투와 데비안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니 어째보면 우분투와 리눅스 민트의 조상이 되겠군요. 재미있는 사실인거 같습니다.

그래서 인지 데비안의 APT 패키지 관리툴을 우분투와 리눅스 민트에서 사용하는 거 같습니다. 데비안 패키지는 deb 파일로 제공이 되는데, 이 deb 파일의 기원이 바로 데비안 패키지의 파일 네임입니다. 

이런 전통을 가지고 있는 배포판인 데비안은,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실제 사용자는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개인사용자나 학교같은 연구기관 외에는 널리 쓰이지는 않는 배포판입니다. 이유인즉 일반 사용자들이 설치하여 사용하기에는 어렵고 기술지원 및 사후 관리가 어렵기 때문인점 때문인걸로 보입니다. 기업이나 관공서에서는 아무래도 지원이 잘 되는 리눅스 배포판을 사용할 수 밖에 없을꺼 같습니다. 

알아보니 리눅스의 창시자인 리누스 토발즈와 데비안과 관련된 일화가 있네요. 리누스 토발즈가 데비안을 설치한적이 있는데 설치가 너무 어려워서 그 이후에는 쓰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쉽게 설치가 되고 자신은 커널작업에만 집중하기 위해서라네요.ㅋ 데비안 배포판의 설치가 어렵기는 하나 봅니다. 

그래서 인지 일반 사용자나 리눅스 초보자가 사용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이 점 참고 하셔서 배포판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국내(한국)에서 개발된 배포판들

지금까지는 주요 배포판에 대하여 소개를 해드렸습니다. 그렇다면 오픈소스 기반인 리눅스 배포판을 국내에서도 개발하여 배포를 해본 적이 있지 않을까요? 네 바로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리눅스 배포판을 개발하여 보급한 역사가 엄연히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 몇가지 사례를 소개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알짜 리눅스 

1996년도에 리눅스원에서 개발한 리눅스 배포판입니다. 1997년부터 Reahat 기반으로 개발되다가 2000년에 개발 및 지원이 중단된 리눅스 배포판입니다. 국내에서는 아마 리눅스 배포판을 개발하여 보급한게 최초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도 1997~1998년쯤에 PC잡지에서 알짜리눅스를 부록으로 CD에 포함해서 판매했던것을 샀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때 당시에 리눅스라는 개념이 참 생소했었는데, 리눅스가 PC자원을 적게 차지하는 고효율 OS라고 잡지에서 소개했던 내용을 본적이 있습니다.^^ 지금이야 리눅스는 덩치가 많이 커졌지만요.ㅋ

그러다가 2000년 이후로 자취를 감췄는데, 아마 수익 문제때문에 개발이 중단되었다고 합니다. 안타깝지만 그때당시 국내에서 배포판을 개발해서 배포했다는 거 자체만으로도 큰 업적이라고 볼수 있겠습니다.

2) 미지리눅스

미지리서치라는 곳에서 1999년도에 미지리눅스를 개발하여 1.0 버전을 배포하였습니다. 2001년에 2.0 버전을 끝으로 더이상 배포판 개발을 진행하지 않았다고 하네요. ( 이후 임베디드 리눅스 관련 제품을 개발 ) 

 
그러다가 2008년에 미지리서치는 윈드리버라는 회사에 인수 합병 됩니다. 미지리눅스도 수익의 한계를 겪었나 봅니다. 

3) 한소프트리눅스

한글과컴퓨터(한컴)에서 2005년도에 정식으로 출시한 리눅스 배포판입니다.  바로 한소프트리눅스입니다. 

그림. 한소프트리눅스 2006 홍보 사진 ( 한컴 홈페이지 )

한컴에서 야심차게 리눅스 배포판을 데스크탑/워크스테이션 용으로 출시하였으나 아쉽게도 오래 가지 못하고 배포판 개발을 접었던 비운의 배포판입니다. 아무래도 한컴에서도 수익 모델에 대한 한계에 부딛히게 된거 아닌가 싶습니다. 

4) 안녕리눅스

현재까지 개발이 진행되고 배포가 되고 있는 국내 유일(?)의 배포판이 아닐까 합니다. 제가 안녕리눅스를 접한게 2005년도 즈음이었는데요, 제 PC사양이 좀 낮았었는데 (Intel Celeron 440), 그 고민을 해결해 준게 바로 안녕리눅스였습니다. 

안녕리눅스 웹사이트 https://annyung.oops.org/

안녕리눅스는 개발자 김정균씨께서 기존 Redhat 리눅스의 방대한 패키지에 회의를 느껴 직접 배포판을 개발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실제 서버를 운영하면서 필요한 어플리케이션들만 추려서 양을 줄여서 최적화 시킨 리눅스 배포판이라고 보면 됩니다. 

안녕리눅스는 서버에 특화되었기 때문에 우분투나 페도라같은 배포판에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Gnome이나 유니티같은 GUI환경은 설치가 되지 않습니다. 설치되고 나서 부팅을 하면 검은색 콘솔 화면에 뜨게 됩니다. 사실 서버를 운영하면 GUI환경이나 그래픽 관련 툴들은 불필요하게 마련인데, 안녕리눅스에서는 그런 패키지에 대해 과감히 제거를 하고 서버 운영시 필요 패키지만 묶어서 배포판을 개발한거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그림. 안녕리눅스 공식 사이트 화면

그래서 실제로 기업이나 관공서 및 학교에 안녕리눅스를 탑재한 서버들이 운영이 되고 있고, 현재까지 개발 및 지원이 되고 있는 국내 배포판중 거의 유일하게 명맥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제가 사용했었던 2005년에는 AMD프로세서가 지원이 되질 않았었는데, 현재는 어떨지 모르겠군요.ㅋ 

리눅스를 좋아하고 개발하는 사람 입장으로써, 안녕리눅스를 응원하는 바입니다. 

어떤 배포판을 선택할 것인가?

지금까지 리눅스 배포판에 대하여 알아봤습니다. 윗 문단에서 언급한 사용자들이 많은 배포판 외에도 수많은 배포판들이 별도로 배포되고 개발이 되고 있습니다. ( 전 세계적으로 대략 300여종 )

그렇다면 리눅서로 가기 위해 어떤 배포판을 선택해야 될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됩니다. 워낙 배포판이 종류가 많고 비슷하지만 제각각이다 보니 어떤 배포판이 나에게 적절할지 궁금증이 생기게 마련입니다. 그럼 배포판을 어떻게 선택을 해야 할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대략 3가지 정도로 배포판을 선택시 고려해야 할 점으로 정리를 해봤습니다.

  • 사용자의 목적/용도에 따라 선택을 해야 한다.
  • 사용자의 사용 경험에 따라 선택이 달라질수 있다.
  • 데스크탑/서버에 따라서 선택이 달라질수 있다. 

사용자가 리눅스 초보자일때 

첫번째로 배포판은 사용자의 목적과 용도에 따라서 선택을 할수 있을꺼 같습니다. 만약 사용자가 초보자이고 리눅스를 배운지 얼마 되지 않았다면 선택할수 있는 리눅스 배포판은 ‘우분투’와 ‘리눅스 민트’ 정도를 선택할수 있을것으로 생각됩니다. ‘우분투’는 리눅스 배포판중에 사용층이 다양하고 관련된 많은 자료들과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쉽게 설치할수 있는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의 존재, 또한 지원이 잘 되는 배포판이기 때문에 만약 당신이 초보자라면 ‘우분투’를 사용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림.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 

만약 Windows나 Mac OS같이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GUI를 갖추고 있고, 우분투의 소프트웨어 패키지 업데이트 기능과 멀티미디어 지원이 잘 되어있는 배포판을 선택한다면 ‘리눅스 민트’를 추천해 드립니다. ‘리눅스 민트’는 최근들어서 인기를 끌고 있는 배포판인데, 자바와 플래시 웹 플러그인등이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웹브라우저 사용에도 별다른 문제가 없을꺼라 생각이 듭니다. 

위 내용을 종합하여 볼때 초보자가 자신의 PC에 설치하여 사용하기 좋은 배포판은 ‘우분투’와 ‘리눅스 민트’가 될꺼 같습니다. 

파워유저 혹은 개발자가 사용하기 좋은 배포판

사용자가 파워유저거나 리눅스 관련 시스템 혹은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면, 사용하기 좋은 배포판은 ‘우분투’와 ‘페도라’, ‘젠투 리눅스’ 등이 될꺼 같습니다. 저는 리눅스 관련 개발업무를 하고 있는데요, 저는 현재 ‘우분투’를 사용하여 소스 수정/편집, 컴파일 등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Vi에디터및 GCC 컴파일러 사용)

‘우분투’ 가 아무래도 소프트웨어 패키지 업데이트가 편리하고, 특히 개발시에 라이브러리 설치 및 업데이트가 굉장히 편리한 점이 있습니다. 바로 APT툴 덕분이기도 합니다. 또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및 SDK, 안드로이드 포팅 작업등에 구글에서 우분투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그림. 우분투용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또 많은 소프트웨어 개발도구 및 Tool들이 우분투에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제가 근래 들어서 C++ IDE로 굉장히 유용한 Code::Blocks도 Windows에서 지원을 하지만 특히 우분투에서도 GUI상으로 IDE를 사용할수 있어서 크로스 컴파일이 가능한 점이 굉장히 유용한점인거 같습니다. 

그림. 우분투에서 실행시킨 Code::Blocks

이외에도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 수많은 관련자료가 많은 ‘우분투’는 개발용으로 사용해도 손색이 없을꺼 같습니다. 개발시에도 손쉬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기능은 무시할수 없는 점일꺼 같습니다. 

이와는 별도로 ‘우분투’가 많이 쓰이기 이전에 대부분의 개발환경을 ‘페도라’로 구성을 했었던 적이 있습니다. 지금은 ‘우분투’로도 개발 환경을 구축하기 손색이 없지만 이전에는 ‘페도라’로 주로 개발환경을 구축하고 개발을 진행했었던거 같습니다. 

‘페도라’는 Redhat계열의 리눅스 배포판인데, 예전에는 Redhat 계열의 리눅스가 거의 리눅스의 표준이다시피 했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대학에서 리눅스를 공부하거나 관련 서적을 참고할때도 거의 ‘페도라’를 기본으로 사용했던 적이 있습니다. 물론 회사에서 리눅스 관련 시스템을 개발할때도 ‘페도라’를 사용했었습니다. 

이런 점 때문에 저같은 경우는 Redhat계열의 ‘페도라’가 익숙하였고, 실제로 개발 관련일을 진행하거나 교육을 받을때도 ‘페도라’를 위주로 진행을 했었습니다. 특히 예전부터 임베디드 리눅스 관련 업무도 ‘페도라’를 기준으로 진행을 많이 했었던거 같습니다. 

‘페도라’도 ‘우분투’ 못지 않게 개발 관련 자료가 많이 있을텐데요, 최근에는 ‘우분투’를 많이 사용하다 보니 ‘우분투’에서도 개발업무를 하는데에는 무리가 없고 오히려 편리한 점이 많으니 제 생각 또한 ‘우분투’를 추천을 드립니다. 다만 ‘페도라’를 사용해 보고 싶고, 페도라가 어떤 배포판인지 호기심을 가지신 분들은 ‘페도라’를 사용하여 개발업무를 진행해도 괜찮을 꺼라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젠투 리눅스 같은 경우는 저의 개인적인 생각으로 파워유저나 개발자가 사용하기 좋은 배포판으로 넣어봤습니다. 이번에 리눅스 배포판에 대한 자료를 정리하다 보니 ‘젠투 리눅스’를 설치시 일일이 컴파일을 진행하면서 설치를 해야 되는 좀 특이한 리눅스 배포판으로 알게 되었습니다. 사실 이런 점은 일반 사용자가 초보자들이 설치하기에는 번거롭고 어려운 일이지만, 파워유저나 개발자들에게는 리눅스에 대해 좀더 묘미를 느낄수 있는 배포판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수동으로 설정파일을 수정하여 컴파일시 옵션을 일일이 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겠지만, 일단 컴파일이 끝나고 설치가 완료되면 자신의 시스템(PC/서버)에 맞는 리눅스가 되니 꽤 매력적인 배포판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저도 시간이 되면 ‘젠투 리눅스’를 한번 설치를 해볼 생각입니다.^^

서버 운영자가 사용하기 좋은 배포판

리눅스는 데스크탑보다 서버 운영체제로 현재까지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서버 운영자나 기술 엔지니어들에게는 리눅스가 필수일꺼 같습니다. 그러면 서버를 운영할때 사용하기 좋은 리눅스 배포판은 어떤게 있을까요?

여기서 유료 솔루션인 RHEL은 제외하도록 하겠습니다. GPL 정신이 맞지 않으니까요ㅋ

바로 CentOS와 안녕리눅스 입니다. 

CentOS는 앞문단에서 소개를 해드렸듯이 RHEL과 거의 동일한 배포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CentOS 또한 서버나 워크스테이션에 주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CentOS는 GPL 라이선스이다보니 별다른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자신의 서버에 설치하여 서버를 운영할수 있습니다. 실제로 비용절감이 필요한 중견/중소 기업이나 개인 서버등은 CentOS로 설치되어 운영이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서버를 운영하거나 서버 운영과 관련하여 연구 개발 및 공부를 하고 싶으면 CentOS가 좋은 선택이 될것으로 생각됩니다. ( 하지만 사후 지원은 어렵다는거…..)

다음으로 안녕리눅스가 있습니다. 안녕리눅스는 CentOS처럼 인지도와 사용빈도수에서는 미흡하지만 국내에서 현재까지 서버용 솔루션으로 개발 및 배포되고 있는 거의 유일한 배포판이라고 볼수 있겠습니다. 아래 개발자 김정균씨의 인터뷰 내용을 링크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wp.chch.kr/smartcom/?p=534

안녕리눅스의 구축사례를 잘 알고 있지 못하나 제가 예전 사례를 찾아본 바로는 주로 중소규모의 서버 구축에 쓰였다고 하네요.(김정균씨 회사의 서버에도 직접설치하여 사용) 안녕리눅스의 홈페이지에 가서보면 중소규모의 서버에 타켓을 두었으나 대형서버라도 튜닝을 해서 사용하라고 되어 있습니다. 서버운영자가 사용하기 나름일꺼 같습니다. 

저도 예전에 안녕리눅스를 설치해 본 경험으로는 기존의 CentOS나 우분투에 비해 적은 용량(700MB CD1장)과 불필요한 패키지 제거 등으로 인해 꽤 최적화된 환경으로 동작을 했던것으로 기억합니다. 만약 서버 운영만 생각하신다면 안녕리눅스도 대안이 될수 있을꺼 같습니다. 

해킹에 사용하기 좋은 배포판

Kali Linux https://www.kali.org/

Kali Linux는 이전 포스트에서 잠깐 소개해 드린적이 있습니다. 리눅스를 사용하는 이유중에 하나가 바로 해킹 하려는 목적도 포함이 되어 있습니다. 리눅스라는 OS자체가 Open Source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수많은 해커들에 의해 발전되어온 운영체제라는건 익히 알려진 사실입니다.  

Kali Linux는  Offensive Security 라는 한 보안업체에서 개발한 수많은 해킹과 관련된 도구와 설명서들이 포함되어 있는 배포판입니다. 공식 사이트에 들어가시면 ISO나 토렌트 파일로 Kali Linux의 배포판을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Kali Linux를 사용한다고 해서 바로 해커가 되는것은 아닙니다. Kali Linux에서 제공되는 도구들을 어떻게 사용하고 응용해야 할지는 각자의 몫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실제 제공된 툴들을 가지고 해킹을 시도한다면, 이미 시도자의 정체가 드러나는건 시간문제라고 볼수 있습니다. 

Kali Linux의 도구들을 사용해보고 분석을 한다면 리눅스 네트워킹과 보안에 관련된 많은 내용을 습득하고 알게 될수 있을꺼라고 확신합니다. 본인이 보안전문가와 리눅스 네트워크 엔지니어를 꿈꾼다면 Kali Linux가 좋은 재료가 될것임에는 분명합니다. 

이상으로 리눅스 배포판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배포판의 종류와 특징에 대하여 알아봤습니다. 리눅스 배포판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정원딸린집'에는 쿠팡파트너스 등의 제휴링크가 포함되어 있으며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