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생 처음 해보는 MBTI 검사
현재까지도 한국 사람들이 재미로 혹은 진지하게 하는 검사들이 꽤 있죠? 전혀 과학적이지 않지만 어느정도 맞는거 같은 느낌인 “혈액형별 성격” 과 연인의 성격이 어떤지 알아보기 위해 한번쯤은 재미로 해보는 “MBTI” 검사 등이 있습니다.
저는 태어나서 한번도 MBTI 검사를 해본 적이 없었습니다. 대신에 이직이나 채용을 위해서 하는 “인성검사” 를 해본적이 있지요. 이런 테스트 들은 수십가지의 질문 문항으로 사람의 성향이나 성격, 인성등을 판별하려고 하지만 이 세상에는 워낙 다양한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단순히 MBTI 같은 테스트로 그 사람의 성향이나 성격을 판단할 수 있다고는 생각치 않습니다.
그래서 단순히 재미로 본다고 생각하는데요, 최근에는 내 적성이나 성격이 남들에게 비춰지는게 어떨까? 라는 생각이 들었었는데, 이 글을 작성하기 얼마전에 “MBTI” 검사를 나도 한번 해볼까?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MBTI 검사는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Myers-Briggs Type Indicator)” 의 약자입니다. 캐서린 쿡 부릭스 라는 소설가와 그의 딸인 정치학을 전공한 “이자벨 브릭스 마이어스” 가 고안해낸 성격 유형 테스트입니다.
그들은 사실 전문적인 심리학자가 아니었는데, 카를 융의 분석심리학을 바탕으로 고안해 냈다고 하네요. 수십가지의 질문 문항을 바탕으로 사람의 성격을 16가지 유형으로 나눠서 설명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MBTI 검사 자체가 “전문적”인 것은 아닌거 같습니다. 일단 비 전문가들이 어느 심리학자의 모델을 가지고 고안해낸 “간단한 테스트” 이기 때문이지요.
그러나 이 MBTI 테스트는 생각보다 많은 이들에게 행해지고 있으며 특히 “연인” 사이에서도 이 테스트를 통해 상대방과 성격이 얼마나 맞는지 판단하는 “척도”로 판단도 되고 있나 봅니다. 또한 이 MBTI 검사 결과를 신봉하는 사람들도 있고요.
아무래도 비 전문가들이 고안해낸 테스트이고 전세계 사람의 성격을 단순히 16가지 유형으로 나눌수 있다는 것도 결코 바람직하지 않은거 같습니다. 약간 “유사과학” 일거 같기도 하네요.
어쨌거나, 믿거나 말거나한 이 MBTI 테스트를 한번 시간날 때 해보기로 했습니다.
내 MBTI 검사 결과는?
사실 MBTI 검사는 구글같은 검색 엔진에 검색만 해도 무수히 많은 MBTI 검사 사이트들이 나타납니다. 저는 그중에서 “16Personalities” 라는 사이트에 접속을 했습니다.
위 사이트는 “구글” 에서 MBTI 라고 검색하면 최 상단에 나오는 MBTI 테스트 사이트 입니다. 일단 “무료” 네요.
대략 30~40문항 정도 질문이 나오는거 같습니다. (더되나? 기억이..) 대략 20~30분 정도 걸린거 같은데요, 별 고민하지 않고 평상시 저의 생각이나 태도에 대해 답을 하게 되었습니다.
저의 MBTI 결과는 과언 어땠을까요?

저는 “INTJ” 형입니다. 위 사이트의 설명으로는 “전략가” 라고 하는군요.

INTJ 는 전략가라고 하는데요, 모든일에 계획을 세우며 상상력이 풍부하다고 합니다. 음 뭐 평상시에 계획을 세우는 편이며, 상상력이 풍부한 편이기도 합니다. 얼추 맞는 건 있네요.

희귀한 성격이랍니다. ㅎㅎ 뭐 제 성격이 특이하다고는 생각치는 않았었는데 끊임없이 생각하는건 얼추 맞는거 같습니다. 그 외에는 제가 능력이 뛰어나거나 두뇌 회전이 빠른편은 아닙니다.

개척자 정신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군요. 매우 독립적인 성격은 좀 맞는거 같습니다. 그런데 다른 사람의 의견을 묻지 않고 결정을 내리는 편은 아닙니다. ㅎㅎ 이건 약간 미스가 있네요.

다음 문단을 보니 “지식에 대한 갈망” 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음 근데 몽상가는 맞는거 같습니다. 평상시에도 여유가 생기면 몽상을 즐기긴 하거든요. 그런데 극심한 비관주의자는 아닙니다. ㅎㅎ 전 꽤나 긍정적인 “낙관주의자” 거든요.
지식에 대한 갈망은 있습니다. 그런데 책벌레, 범생이는 아닌거 같네요. 코딩을 하는 일이라 솔깃했는데 “최고”는 아닙니다 ㅎㅎ그리고 진지해 보이긴 합니다.

음 이 문단을 보면 약간 저랑은 다르네요. 사교 능력이 취약한 편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해서 많은 사람들과 교류를 하는 타입은 아닙니다. 저는 관계를 맺을 때 저랑 말이 통하는 소수만 관계를 맺고 있는데 그런 부분에 있어서는 이 문단에서의 설명이 얼추 맞는거 같기도 합니다.

저는 이전에 썼던 글에서도 설명했듯이 불필요한 마찰이나 관계, 사내 정치 이런걸 꽤나 싫어하는 편입니다. 찾아보니 INTJ 형이 그런 경향이 있다고 하는군요 ㅋ

체스 경기와 같은 삶이라… 상상력이 넘치기는 하고 결단력이 있긴 하지만 야망이 넘치진 않네요 ㅎㅎ 차분하고 호기심이 많은건 맞습니다.
저도 “운”에는 의존하지 않는 편인데 그런 부분에 있어서는 여기 문단의 설명이 맞긴 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전략”을 잘 짜는 편은 아닙니다.

저의 결과를 하나의 표로 나타낸 그림입니다. 저는 내향적인 부분이 강한 편이군요. 저도 막 처음 만나는 사람과 금새 친해지는 성격은 아닙니다. 더군다나 사람을 많이 만나는 “영업직” 같은 일은 제 성향에 안맞습니다.


마지막으로 저와 같이 INTJ 형의 유명인물들이 어떤이들이 있는지 알려주더군요. 프리드리히 니체, 미셸 오바마, 일론 머스크, 크리스토퍼 놀란 등이 있다고 합니다. 일론 머스크라… 일론 머스크는 외향적 인물이 아닌가요? ㅋ
그 외에 영화 캐릭터 속의 “간달프” 등이 전략가형 인물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저의 MBTI 검사를 간단히 해봤는데요, 제 성격과 맞는 부분도 있지만 틀린 부분도 있습니다. 이 앞전에도 말씀드렸듯이 이 세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성격을 단순히 16가지 유형으로 나눈다는 건 어불성설에 가깝습니다. (말도 안되지요)
그런데 “혈액형별 성격 유형” 이 그렇듯이 MBTI도 얼추 맞는 경향이 있는거 같아 보이는군요. 그렇다고 해서 MBTI를 신봉하거나 상대방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삼아선 안되겠습니다.
그도 그럴께, 저의 결과인 “INTJ” 형을 제가 결혼하기 전 와이프에게 알려줬다면 과연 어땠을지 궁금합니다. 특히나 “INTJ 남자” 들은 많은 여성들에게 결코 좋은 평가를 받지는 못하더군요 ㅎㅎ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를 선택해준 와이프에게 감사해야 할 거 같습니다.
결론 : MBTI 는 재미로만 보고 상대방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삼으면 안되겠습니다
이 글을 보니 예전에 혈관고(혈액형에 관한 고찰의 줄임말)라는 웹툰이 기억납니다. 어떤 사건에 발생했을 때 혈액형별 대처나 반응을 만화로 그린 건데 굉장히 재밌게 봤습니다. 요즘은 MBTI 가 대세인 듯 한데 저도 가끔 회사 분들을 보고 있으면 MBTI 가 궁금해 지기도 합니다.
MBTI는 말씀하신 대로 사람을 16가지의 부류로 나누는 건 다소 인간의 유형을 단순화 하는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사람들의 성격이 다 달라 사람들의 부류를 쉽게 나누려고 하다보니 이렇게 단순한 형태로 사람들을 구별하게 되고 MBTI나 혈액형에 대해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기도 하고 유행하는 것 같습니다. 그런 현상의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 하나로는 사람들의 효율성을 강조하다보니 사람에 대해 파악하려는 노력조차 효율을 따지게 되고 유형으로 분류하게 되는 건 아닌가 싶습니다. 저처럼 이렇게 MBTI나 혈액형 분류에 대해 가볍게 얘기하면서 사람을 가볍게 분류하는법에 대해 진지하게 얘기하는 것도 어불성설이긴 합니다.
필자님의 글을 재밌게 읽고 갑니다. 좋은 글 공유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참고로 저의 MBTI는 ISTP입니다.(저는 여러 번 테스트했는데 가장 최근에는 이렇게 나오더군요)
안녕하세요. ISTP 시군요. 저도 이제서야 MBTI를 알게되고 여기저기서 하도 떠들길래 한번 해봤더니 나름 맞는 부분이 있는거 같기도(?) 합니다. ISTP도 개발자들이 많은듯 한데, 개발자시라서 현 직업에 따라 어느정도 성격이 매칭이 되나 봅니다.
혈액형도 예전에 한창 유행이었는데 지금은 좀 시들한거 같네요. 그래도 여성들 사이에서는 B형 남자는 어떻고 저렇고 하는 카더라 통신이 여전히 돌아다니는거 같습니다. 전혀 과학적 근거가 없지만 제 배우자가 그런걸 신봉하면 좋진 않을거 같아요 ㅎㅎ
MBTI도 과학적인거 같아 보이지만 뭐 찾아보니 과학적 근거는 없다고 하더라고요. 심리학을 토대로 비전문가들이 만들어논거라 어느정도 맞는 것도 있겠지만 그 사람을 성격을 딱 나타내주진 않는거 같아요. 뭐 그럼에도 대략 그 사람의 성향 파악? 정도는 가능할거 같기도 해서 재미삼아 보는건 나쁘지 않을거 같습니다.